작가소개 캐스 R. 선스타인
미국에서 가장 자주 인용되는 법학자. 시카고 대학교 로스쿨과 정치 학부의 법학 교수를 거쳐, 현재 하버드 로스쿨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8년 출간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넛지』의 공저자로 명성을 얻었다.
🔄 습관화와 그 덫
우리는 반복적인 경험에 익숙해지면서 감각이 둔해지고, 인생의 최고의 순간조차 평범하게 느껴진다. 연구에 따르면, 낯선 휴양지에서도 43시간 안에 습관화가 시작될 정도다. 문제는 습관화가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심지어 부정적인 환경에도 무감각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
🚪 탈습관화, 새로운 문을 여는 법
탈습관화란 익숙함을 깨고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보는 과정이다. 작은 변화만으로도 삶의 소중한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회적 불평등이나 환경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도 키울 수 있다.
⚖️ 변화 vs. 익숙함의 싸움
사람들은 변화를 두려워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변화를 시도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행복하다. 하지만 우리는 변화를 회피하는 경향이 강하다. 왜? 습관화된 것이 더 편하기 때문. 하지만 이 습관의 틀을 깨지 않으면 발전도 없다.
💡 창의성의 비밀, 탈습관화
창의적인 사람들은 반복 속에서도 새로움을 발견한다. 즉, 너무 빠르게 익숙해지지 않는 사람들이 혁신을 만들어낸다. 법학에서 경제학적 사고가, 경제학에서 심리학적 접근이 새로운 노벨상급 아이디어를 탄생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 결론: 변화를 즐겨라!
작은 변화라도 시도하는 것이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창의성을 키운다. 일상의 틀을 깨고 새로운 시각을 갖는 것이 곧 더 나은 삶과 사회를 만드는 열쇠다! 🚀
습관화가 되면 일은 지루해지고, 발전이 없어진다. 하지만 가끔 어떤 사람들은 늘 해오던 방식이 유일한 방법이자 최선의 방법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의문을 제기한다. 우리가 오늘은 "가끔 어떤 사람들"이 되어보는 건 어떨까?
'하루 한 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험 마인드셋? 불안 없는 조직[티파니 보바] (2) | 2025.02.09 |
---|---|
1등만 기억하는 이유? 승자독식사회[로버트 프랭크, 필립 J 쿡] (0) | 2025.01.06 |
혁신? 현혹되지마! 살아남는 생각들의 비밀[샘 테이텀] (31) | 2024.12.25 |
읽어 봤어? 폭염 살인 [제프 구델] (32) | 2024.12.18 |
기업 성공 전략 4가지_공격의 전략[베넘 타브리치] (0) | 2024.12.12 |